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공지사항

그동안 한국의 많은 국민들은 황우석 교수의 연구에 대한 일부 국민으로부터의 생명윤리 문제제기 ( ☞ 황우석 교수팀의 생명윤리논란에 관하여☞ 윤리가 실종된 과학 ) 경제성 및 난치병 치료의 현실 가능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은 철저히 외면하고 ( ☞ 이종장기이식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설문 조사를 접하고... / ☞ 황우석교수팀의 배아복제연구에 관한 소식을 듣고 ) , 한국을 부자나라로 만들어주고 어려운 난치병을 치유해준다는 거짓 약속에 현혹되어 황우석 우상화에 몰두해 왔습니다.

 

과학자로서 일말의 양심마저 져버리고 논문을 조작한 교수에게 거액의 연구비를 지원한 정부와 거짓을 보기를 거부하고 무조건 황교수를 감싸왔던 국민들이 이제라도 김수환 추기졍의 말씀대로 황교수의 거짓과 부정직은 황교수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임을 깨닫고 욕심과 허영을 버리고 생명의 소중함을 존중하게 된다면 황교수의 위선과 부정직한 연구의 폭로는 전화 위복의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김 재 국

2005.12.24 (02:13:22)

철저한 검증의 시대에 아직도 이런일이 일어날수 있다는데아연할 따름입니다...
이정일

2005.12.24 (16:07:02)

윤리없는 과학은 이미 과학이 아니라는 것을 전에 동아일보 사설에서 어느 과학자가 쓴 글이 아직도 인상적으로 남아 있습니다. 요즘 그에대한 증명을 너무도 여실히 온세계에 드러내 주지 않았습니까!!! 한 마디로 세계를 향해서 사기꾼임을 이제라도 폭로하게 되었음이 올해를 넘기기전에 드러나서 통쾌합니다. 아직도 세계에 발표할 논문이 쌓여있다는 그 말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저는 그 대답을 기다릴 것입니다.
황옥연

2006.01.16 (23:39:53)

이곳에서까지 윤리운운하며 죽이기문화동참자를 만나게되니 아쉽고 한스럽네요.kaps님 아래님들 글 올라온지 좀오래딨으니 이젠 생각이좀 바뀌지않았는지요. TV만이언론은 아닙니다 이런말이있지요 대한민국 언론은 죽었다 이사태를 통해 절실히느껴지더군요 역사속의 진실은 승리자의 것입니다 한번만더 국가와 윤리의 선후를 판단해주십시요 여러 카페에들어가 글들을 읽어봐주세요 (특히 다음카페의 동네수첩 동영상) 그런후에 진실과 거짓을 말해주세요 너무 안탑깝네요 .여러분의 눈을 가리고 ,귀를 막아버린 언론의 횡포가요.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366 ‘애완동물은 과연 인간에게 위험한가.’ 2004-02-20 14469
365 [보양식의 세계]‘뱀·보신탕은 음식 아니다’ 2004-02-20 15226
364 동보위(동물보호법 추진위원회)에서 동보협과 누살본 완전 탈퇴 2004-02-23 15006
363 동보위(동물보호법추진위원회)에서 동보협과 누살본 완전 탈퇴. 2004-02-23 14017
362 서울시가 잘못되었습니다. 2004-02-25 14377
361 동물 보호하는 사람들은 각 시와 함께 의논 표준규약을 만들도록 부탁합니다 2004-02-27 13887
360 동물 보호하는 사람들은 각 시와 함께 의논 표준규약을 만들도록 부탁합니다 2004-02-27 15396
359 모두 항의를 합시다. 한편으로는 시에 들어가 설득을 하도록 합시다. 2004-02-27 14132
358 때 늦은 서울시청의 답변 2004-03-11 13842
357 리빙펫의 사기에 현혹되지 맙시다!!! 2004-03-16 14146
356 페디그리 사료 먹고 개들이 죽는사태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2004-03-18 15442
355 2004년 2월15일 동보위 탈퇴 사유 2004-03-21 13852
354 2004년 2월 5일 발표한 동보위의 동물보호법 [시민단체안] 2004-03-21 13839
353 2004년 2월 11일 협회가 지적한 [시민단체안 문제점] 2004-03-21 13980
352 창 3: "동보협 제안을 들어준다고 하였는데도 불구하고.... 2004-03-30 13779
351 창 2: 농림부의 애완동물 정의 개, 고양이 식용, 애완으로 나누려는 의도를... 2004-03-30 14186
350 창 1:세계일보에 실린 동보위의 동물보호법은 인정하기 어렵습니다. 2004-03-30 13879
349 2004년 2월 18일 동보위 [동물보호법] 확정분 2004-03-31 14142
348 창 4: " 아름품 이수산씨의 잘못된 주장에 대한 반론(이헌덕회원) 2004-04-06 14360
347 대화를 할 때와 항의를 할 때가 있는 법입니다. 2004-04-16 1807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