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공지사항
■개 회충·톡소플라스마 위험논란

‘애완동물은 과연 인간에게 위험한가.’

지난 4일 KBS 1TV 환경스페셜 프로그램 ‘질병의 사각지대, 애완동물의 경고’가 방영되면서 집에서 키우는 개나 고양이에 대해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매년 버려지는 동물 수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으로 인해 더 많은 동물들이 버려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이날 프로그램은 애완동물을 통해 직·간접으로 ‘개 회충’과 ‘톡소플라스마(포유류·조류·파충류·어류 등의 조직 및 기관에 사는 기생충)’ 등에 감염돼 실명하거나 기형아를 낳은 사례를 보여주면서 애완동물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의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오히려 이러한 질병들이 국내 의학계에서조차 그 근거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을 만큼 희귀할뿐더러 구충제 투여와 위생관리만 철저히하면 예방이 가능하다며 과장된 측면에 대해 걱정스런 눈길을 보내고 있다. 개 회충과 톡소플라스마에 대한 궁금한 항목들을 살펴본다.


◆개나 고양이를 키우면 옮는다?=단순히 만지거나 호흡기를 통해 옮는 기생충들이 아니다. 감염된 개(개 회충)와 고양이(톡소플라스마)의 변이 직·간접으로 사람의 입으로 들어갈 때만 감염된다.


이 변에 충란(기생충 알)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톡소플라스마증은 특히 사람이 양·개·돼지·닭 등 고기를 덜 익혀 먹었을 때도 걸릴 수 있다.


변 속 충란은 동물의 몸에서 배출된 지 최소 24시간 이후(톡소플라스마) 또는 2주(개 회충)가 지나야만 성숙해져서 감염력이 생긴다. 그러므로 배설하고 바로 치우면 감염 걱정을 덜 수 있다. 변이 묻은 곳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것은 기본. 하지만 변이 방치된 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어린이 놀이터의 모래 속에서 기생충이 종종 발견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아이가 놀이터에서 놀고 왔다면 반드시 손발을 씻도록 한다. 또 동물의 털이나 입에 변이 묻어 있는 것을 모르고 입을 맞추다가 감염될 수도 있으니 주의한다.


◆개 회충에 감염되면 실명?=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국내 개 회충 혈중 항체 양성률을 5∼6% 정도로 보고 있다. 100명 중 5명 내지 6명은 개 회충에 감염된 적이 있다는 얘기다. 특히 동물을 좋아하고 놀이터에서 놀거나 바닥에 떨어진 것을 입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은 1∼5세 아이들이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감염됐다고 모두 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전남대 수의과대학 수의기생충학교실 신성식 교수는 “사람의 입으로 들어온 충란은 사람이 정상 숙주(宿主·생물이 기생 대상으로 삼는 생물)가 아니기 때문에 유충으로 부화해도 곧 신체 방어·면역 기전에 의해 특별한 증세 없이 자연 사멸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감염되어도 발병률이 낮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발병하는 경우는 유충이 내장이나 안구로 이동할 때다. 신 교수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 의학계(저명 의학잡지)에 보고된 개 회충 발병 사례는 총 6건. 모두 유충이 안구로 이동하면서 망막세포를 손상시켜 시력 이상을 가져온 ‘유충 안구 이행증’이다. 한번 손상된 망막세포는 회복이 불가능해 시력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개 회충의 또 다른 대표적 증세로는 ‘유충 내장 이행증’. 이는 유충이 장기로 이동해 장기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증세를 보이는데, 치료가 가능하고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고양이 때문에 기형아 출산?=톡소플라스마는 임신부에게 감염되면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있는 기생충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것은 고양이의 변보다 날고기로 인해 감염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미국의 경우 고양이의 변에서 톡소플라스마가 출현하는 경우는 1000마리당 3마리 정도로 희박하다. 고양이를 애완동물로 기르는 비율이 미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우리나라는 톡소플라스마의 노출은 미국에 비해 훨씬 적다. 게다가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고양이가 충란을 배출하는 시기는 고양이 일생에 단 한번이며 감염 후 1주 이내로 한정되어 있다.


서울대 의대 기생충학 교실의 최민호 교수는 “임신부의 기형아 출산을 유발한 톡소플라스마는 고양이로 인한 감염보다 고기를 덜 익혀 먹어 감염됐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도 “톡스플라스마로 인한 기형아 출산율은 개 회충 발병률보다 더 희박하다”고 말했다. 같은 임신부일지라도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적이 있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면역력이 생겨서 또다시 옮아도 태아에게 전염되지 않기 때문이다. 임신부가 아닌 사람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톡소플라스마에 감염이 되어도 발병하거나 증세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톡소플라스마에 감염된 경험이 없는 임신부는 조심해야 한다. 이런 임신부가 감염되면 톡소플라스마가 태아에게 전해져 기형아가 태어날 수 있다. 임신 초기에는 유산 또는 사산, 임신 말기에는 신경계 기형아 출산의 가능성이 있다. 망막세포가 망가지는 맥락막염, 머리에 물이 차는 수두증, 머리가 정상보다 작은 소두증, 손발이나 다리 등을 잘 움직이지 못하는 운동성 기형 등의 증세를 보인다.


임신부가 톡소플라스마 항체가 있는지 알아보려면 산부인과에서 검사를 받으면 된다. 고기를 많이 먹고 고양이를 많이 키우는 미국 등 외국에서는 임신부로 하여금 톡소플라스마 항체가 있는지 알아보는 혈액검사를 반드시 받도록 하고 있다.


글 박은주, 그래픽 차준홍기자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306 [사진첨부] 인천 남동구청에서 보내 온 글과 사진. 2005-06-17 17112
305 [사진첨부]정부는 고래사냥에 대해 반대표를 던질 것을 촉구한다. 2005-06-12 21083
304 [사진첨부]정부는 고래사냥에 대해 반대표를 던질 것을 촉구한다 2005-06-12 23599
303 배아복제 연구에 대한 종교단체의 반대입장 2005-06-06 17195
302 윤리가 실종된 과학 2005-06-06 15442
301 황우석 교수팀의 생명윤리논란에 대하여 2005-06-02 15541
300 임실군과 오수의견과 관련한 곳에 항의공문 2005-04-28 15247
299 2005/4/24 지구의 날 행사에 참여하면서... 2005-04-26 14450
298 애완 동물 2마리 이상 기르면 모든 알러지로부터 해방 2005-04-22 20903
297 개식용금지를 위한 국회의원과 언론인에게 고하는 글 2005-04-12 15731
296 개식용 금지를 위해 국회의원과 언론인에게 고하는 글 2005-04-11 15005
295 4월 5일 유기동물 수 줄이기 운동 및 유기동물돕기 바자회 2005-04-08 14326
294 3월27일 개고기 위생관리 반대 규탄대회(사진첨부) 2005-04-08 13772
293 안수남, 설희, 진희 3자매와 잡종 발바리 "사랑이" 2005-04-07 19918
292 우리들을 버린 사람들을 용서하라. 용서하라 2005-04-04 16377
291 정부의 식용견 위생관리 방안보고서에 대한 반박 2005-03-31 13933
290 유기동물 돕기 바자회가 열립니다. 2005-03-30 15574
289 정부는 개식용 합법화[개고기 위생관리강화]시도를 즉각 철회하라 2005-03-25 14752
288 개고기 합법화 반대에 대한 회원들의 좋은 글 모음 2005-03-15 15870
287 중국 대사관에 탄원의 편지를 보냅시다. 2005-03-09 1424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