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read 8911 vote 0 2005.11.21 (16:54:29)

참 기특한 동물 친구죠?
--------------------------------------------------------------
매일 밤 소녀를 죽음에서 구해내는 개>
[연합뉴스] 2005-11-21 07:18  
  
(오클랜드<뉴질랜드>=연합뉴스) 고한성 통신원 = 호주에는 수면 중 호흡 중단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은 한 소녀를 매일 밤 곁에서 지켜보며 죽음에서 구해내는 개가 있어 화제다.

시드니에 사는 올해 13세의 브룩 켈리를 돌보는 '네빌'이라는 이 테리어종의 개는 모습은 조그맣고 꾀죄죄하지만 특별히 훈련을 받아 의사도 해내기 어려운 일을 한 번의 실수도 없이 척척 해내는 놀라운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호주의 선데이 텔레그래프가 20일 전했다.

그래서 브룩은 매일 밤 네빌이 이튿날 아침 자신을 틀림없이 깨워줄 것이라는 굳은 신뢰를 갖고 편안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든다.

브룩이 앓고 있는, 유전에 의한 선천적인 과호흡 증후군은 수면 중 종종 호흡이 중단되는 증세로 인구 30만 명당 한 명 꼴로 나타나며 호흡이 중단됐을 때 자칫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한 병이다.

네빌은 그런 브룩을 침대 머리맡에 앉아 지켜보다 브룩의 호흡이 갑자기 중단되는 순간 짖어대 브룩을 잠에서 깨어나게 함으로써 죽음의 위기에서 구해내는 것이다.

이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개는 전 세계적으로 두 마리밖에 없으며 호주에서는 네빌이 유일하다.

브룩은 "나는 항상 개를 갖고 싶어 했는데 네빌은 내 목숨을 구해낼 수 있는 능력까지 지녔다"며 "훈련을 받았기 때문에 네빌은 위험한 상황이 어떤 것인지를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브룩의 어머니 레티티아 켈리는 "브룩의 병은 잠들었을 때 호흡이 중단되면 그녀를 잠에서 깨워줄 수 있는 신경조직이 작동을 하지 않는 증세"라며 태어날 때 병원에서 그런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시드니 아동 병원의 수면의학과장인 아서 텡 박사는 "그 같은 증세에 약은 없으며 평생 지니고 살아야하는 병"이라고 말했다.

어렸을 때는 많은 돈을 들여가며 매일 밤 브룩이 잠잘 때마다 불침번을 옆에 두었으나 이제는 사람 대신 네빌이 그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다.

네빌은 올해 18개월짜리 수컷으로 브룩이 잠자리에 들 때 노란 재킷을 입혀주면 벌써 자신의 임무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아차린다고 브룩은 말했다.

장애인 보조견 협회의 알렉스 반 오에버렌 회장은 자신이 브룩과 네빌에게 6주 동안 교육을 시켰다며 사람들은 가끔 자기도 모르게 졸아버리는 경우가 있으나 네빌은 정확하게 브룩이 내쉬는 숨소리의 리듬을 알고 있어 설령 졸 때도 언제나 한쪽 귀를 열어놓고 브룩의 숨소리를 듣는 아주 특별한 개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이 일에는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다"면서 "만일 네빌이 제 때 자신의 일을 하지 않는다면 브룩은 목숨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브룩의 어머니는 "네빌은 밤에는 브룩을 지키는 일을 하고 브룩이 학교에 가는 낮에는 잠을 자는 야간 근무자"라고 말했다.


전병숙

2005.11.22 (10:57:53)
*.234.64.3

소녀의 곁을 지켜주는 파수꾼의 역활을 충실히 해내는
잔잔한 감동을 주는 그러면서도 슬프고 마음 따뜻한 얘기에 우리 인간이 진정,,부끄러움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조수연

2005.11.23 (17:46:06)
*.5.160.19

가끔씩 개들이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거나 우리가 할 수 없는 일들을 해내는 모습을 보면서 얼마나 특별한지 다시한번 깨달아요.
사람들이 멸종해버리면 어떤 동물들도 인간을 그리워하지 않겠지만 개만은 사람이 없어진 것을 섭섭하게 생각할겁니다. 정말이지 인간에게는 너무나도 과분하고 특별한 동물이예요...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가입 인사...^^; 1 2006-03-25 8919
서울시장께서는 개식용반대자들이원하는 공청회를 열어주세요 2008-09-14 8919
여러분,그냥 이대로 있을겁니까? 지금도 죽어가고 있습니다.. 3 2006-07-25 8920
이 글 꼭 읽어주시고, 도와주세요!! 9 2006-07-25 8920
까옹이가 죽었습니다. 2 2008-09-20 8920
<font color=green><b>개, 고양이와 뒹굴고 놀아도 건강한 애기들 6 2006-01-14 8921
[좋은글]이필렬교수의 채식과 환경 2005-01-12 8923
얼마전에도 올렸지만.. 3 2008-04-25 8923
어제 방송때문에 울 협회루 오해를... 2003-10-29 8925
기사]화살맞은 고양이(미국) 1 2006-01-03 8925
회원카드는 받았지만... 2 2009-11-23 8925
개 고 기 식 용 합 법 화 결 사 반 대 2005-01-06 8926
이필렬교수의 1.동물은 식물과 다른가? 2.개고기 2005-01-08 8926
반갑습니다 2 2006-03-08 8926
지금 인터넷에.... 2 2009-10-06 8926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2 2006-04-20 8927
회장님 .....,,,,,,,,, 2 2010-03-01 8927
개는 내 마음을 주기만 한다면 자기 마음을 다 내준다. 1 2009-04-25 8928
도대체 이 나라가 어데로 가려구 이럴까요?? 2003-09-18 8929
오늘 혜선 누나가 보나준 책 받았어요 2005-01-27 892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