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오늘 1시부터 동대구역 광장에서 개고기 합법화 반대운동이 있었습니다. 집행부들은 12시부터 모여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감사히도 많은 분들이 약속시간인 1시 이전부터 모였습니다. 프랭카드를 달고 준비한 판넬들을 전시하고 서명용지를 준비하는 동안 지나가는 사람들이 관심을 많이 가지더군요.

집회가 시작되자 모두 일사분란하게 정렬을 하고 금선란 회장님의 성명서 낭독과 구호를 외치며 식이 끝나고 모두 서명 용지를 들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서명을 부탁했습니다. 주로 젊은 층들이 좋은 반응을 보이며 비가 옴에도 불구하고 비를 피해가며 서명을 해주더군요.

서명을 해주신 분들중엔 지금까지 그냥 사람들이 개고기를 먹길래 먹어도 되나보다라고 생각했지만 내용을 알고나니 옳은 습관이 아니였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비가 오는 굳은 날씨로 인해 생각보다 빨리 끝내게 됬지만, 오늘 참석해서 수고해주신 많은 분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무사히 끝났지만 모든게 끝난게 아니라 저희들의 운동은 지금부터라고 생각됩니다.

아직도 많은 분들이 개고기 식용이 한국의 전통문화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이 동의를 하지않는 문제를 과연 우리들이 전통 문화라고 떠들수 있을까요?
문화란 모든 국민들에게 오랫동안 이어진 정신의 산물이라고 합니다. 과거에 못살때 구하기 쉬운 개고기라는 단백질이나마 챙겨먹어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했던것이 문화입니까.
오히려 가난했던 우리나라의 불쌍한 과거라고 할수 있지 않을까요?

그시절이 그리우신가요? 눈물을 흘리며 키우던 개에게 ,"누렁아 미안하다 "하고 잡아먹었던 쓰라린 추억을 되새기고 싶습니까?
아무리 문화라고 할지언정 그것이 정서에 맞지않고 잘못됬다면 고쳐야한다고 봅니다.

전통문화라고 한다면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다던지 대보름엔 오곡밥을 먹는다던지 그런게 식용문화가 아닐까요? 모든 사람들이 거부감 없이 동의를 하며 챙기지 못했을땐 아차하고 생각하는 ..

복날에 개고기를 먹는다던지 몸이 허해서 개고기를 먹는다? 전통문화라서??
이건 지극히 일부 사람들입니다. 먹는 사람들이나 그걸로 장사를 하는 사람들이 지어낸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마케팅수단 또는 자기변명으로 지어내어 국민들을 헷갈리게 하고 있죠.

정말 좋은 문화라면 왜 이리 많은 사람들이 반대를 하며 거부할까요?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글이 길어졌네요.
서울의 고양이연맹,그리고 이런 운동이 왜 필요한지 알고계신 경북대 수의학과 학생분들 ,그밖의 많은 분들 뵙게되서 반가왔습니다.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토끼이야기 2003-04-10 9622
많이 짖는 개들에게 사용하는 "짖지마"라는 목걸이를 아시는지요? 2004-04-07 9622
나는 이렇게 말하고싶다[울산대 사회학교수 구영모] 2005-07-23 9622
[구조요청]새끼 고양이가 어미에게 버림받았습니다 1 2008-06-28 9625
미디어 다음아고라에 들어가 개고기 반대표에 서명해주세요. 2005-02-19 9626
日열도 울린 "보은의 개" 1 2006-05-01 9626
<font color=blue size=2><부산일보>우성베스토피아 주민들 길고양이 불임수술 2 2006-07-10 9627
개를 잡아먹지 말자.(법정스님께서 기고하셨던 글) 2 2010-03-13 9628
부산시청에 전화를 했습니다. 2004-03-02 9629
흔적남기는중 2004-10-07 9629
감사한 마음을... 2005-02-17 9629
<font color=#cc3300 >[re] 동물을 사랑한다는 것이.. 2007-05-02 9630
경주월드동물농장을 고발합니다(동자련게시판 글펌) 2003-11-30 9631
개식용 찬반 투표 3 2008-07-21 9631
고양이가 자꾸 그자리에 앉아있어요 1 2010-05-09 9633
협회장님, 회원님들 다들 오랜만입니다... 3 2007-09-05 9637
꼭 좀 읽어주세요!! 2004-05-23 9639
유효재님 오랫만이네요! 고양이 대모 문주영님 리플부탁.. 2003-11-06 9640
29일에 구조되었던 고양이요~ ^-^ 2006-11-05 9640
불임수술 후의 씁쓸한 심정... 2003-02-05 964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