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구미에서 구출한 개 "청이"
by 박정숙 (*.241.190.176)
read 8885 vote 0 2004.12.11 (11:16:15)

정말 수고하셨습니다.
청이대신 고맙다는 인사를 누군가는 해야 할 것 같아서요..

읽으며 정말 가슴이 뭉클 했습니다.
청이가 스님의 사랑을 받으며,
남은 생을 잘 지내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특히 개 종류는 이젠 그 종자체가 인간에게 의지하여
살게 진화되었기에 절대로 인간의 보살핌이 필요한 동물이지요.

애완동물이 인간의 보살핌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마치 부모없는 고아와 같아서,
스스로 홀로 살아가기가 불가능하고,
그 삶과 죽음이 한없이 비참해 집니다.

세상 사람들이 자기와 인연맺은 동물만이라도 거두어 들이는
최소한의 양심마저 저버리는 세태가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며 함께 진화해가는 소중한 존재들로서,
인간은 털없는 원숭이로 그 선상에 가장 앞선 존재중의 하나일 뿐이지요.

지구와 이 세상이 구원되기 위해서,
진화의 정점에 서 있는 인간의 사랑과 자비로운 마음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신은 눈물을 흘리며 우리에게 이것을 요구하고 있지 않을까요 ?




>
>

구미시에 천일사라는 절에 사시는 한 스님은 아주 딱한 개를 발견하고 구미의 119에 신고하고 구조를 부탁하였으나 잡기가 어렵다고 거절하여 대구 협회로 구조요청을 하였다. 스님은 구미시 진평동 동락공원에서 배회하고 다니는 그 개는 잡종 진돗개로서 목에 깊은 상처를 가지고 있어 너무 불쌍하다고 하시면서. 협회서 도와준다면 치료비와 경비를 지원하겠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타 지방의 동물을 구출하면서 경비와 치료비를 주겠다고 제안한 사람은 이 스님이 처음이었다. 그 개를 불쌍히 여기고 꼭 구조받기를 원했던 스님은 절에 3마리 개를 키우면서 동물에 대한 사랑도 싹텄겠지만 생명을 사랑하고 모든 동물을 죽이는 것을 금하는 불교사상이 바탕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2004년 11월 14일 일요일,구조팀은 개를 구하기 위하여 구미시에 갔다. 스님의 안내로 동락공원에 도착하여 그 개를 찾았으나 보이지 않았다. 약 15분간 찾아 헤메다가 동락공원 뒷편 강 둑 아래 밭 한가운데 서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밭 한쪽에는 낡은 집이 있어 한 가족이 살고 있었는데 할머니 되는 분이 그개에게 가끔 음식을 주었는지 "메리야"라고 부르니 그 개는 할머니께로 조심스럽게 아주 천천히 가까이 왔다. 그러나 할머니도 그 개를 잡거나 만질 수가 없었다.

구조팀은 개가 낮선 사람의 출현으로 멀리 도망갈 수도 있다는 점을 염려하고 거리를 두고 개가 안심하고 행동하도록 내 버려두고 그냥 지켜보면서 기회를 찾고 있었다. 약 40분 정도 이 곳 저 곳 방황하던 그 개는 버려진 컨테이너 곁에 있는 나무 등 잡동사니를 모아 둔 곳으로 들어갔다. 구조팀은 즉시 그 곳의 양 쪽 공간을 막고 올가미를 이용하여 잡는데 성공하였다.

처음 발견 장소, 강 둑 곁 밭.

구조 팀이 할머니에게 개를 한번 불러 보라고 하였더니 할머니가 "메리야" 라고 크게 부르자 개가 할머니 쪽으로 오고 있다.

할머니 곁에 오긴 하였으나 거리를 두고, 할머니가 음식을 줄 것으로 생각하고, 기다리는 것 같이 보인다.

갑자기 구조 팀을 발견하고 낮선 사람들이라고 경계하면서 다른 곳으로 가고 있다. 앞에는 할머니 손자되는 학생이 개를 보고 있다.

헌 컨테이너가 있는 곳에 가더니 숨을 곳을 찾아 들어갔다.

개는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곳에 숨어 있었으나 구조팀에게는 쉽게 포획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준 것이 되었다.

다행히 쉽게 개를 올가미에 넣을 수 있었다.

박물관 옆 동물병원에서 임수의사는 마취를 시키고...

마취가 잘 되지 않아 두 번째 마취 주사를 주고 있다.

사람들은 왜 동물에게 어린시절에 목걸이를 하였으면, 그것을 늘여 주지 않으면 자라면서 목 안으로 파고 들어갈 것이라는 예측을 못하는지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이런 동물이 한 두 마리가 아니고 자주 보이는 것이 잔인한 성격에 의하여 동물학대도 많겠지만 무지하여 동물을 본의 아니게 학대하는 경우도 너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줄을 제거하니 같은 크기의 붉은 상처가 노출되었다.

수의사는 문제의 녹색 목걸이를 제거하였다

목걸이 앞 부분 중 쇠불이가 있는 부분은 더욱 깊고 큰 상처가 생겨있다.

이개는 전라도에서 구조 된 홍이와 많이 닮아 구조팀은 "청"으로 이름 지어주었다. 청이가 회복되면 청이를 구하도록 도와주고 염려하고 있는 스님이 계시는 천일사 절로 보낼까 계획 중이다.


>


>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정부가 우선 해주어야 할 일..[앞글 작성자 이미일님 글] 2 2006-08-21 8988
이웃나라 대만의 애견등록제와 개들에게 全공원 출입허용...[회원이미일 글] 2006-08-21 10077
2만부로 부탁드릴께여~~ 3 2006-08-20 8857
<font color=orange size=2><b>동물사랑의 전단지 돌릴 때 도움이 될 수 있다면.... 3 2006-08-19 10312
저 이만부 부탁합니다 인쇄비와 홍보비는 제가 부담할게요 3 2006-08-19 9113
전단지 잘 받았습니다. 1 2006-08-18 9040
아예, 전단지 배포를 생활화 합시다. 2 2006-08-18 9851
회원 여러분!! 아직도 불참하고 계십니까? 4 2006-08-18 12348
전단지 3000부 부탁합니다. 1 2006-08-18 8021
전국으로 전단지보급을 위한 켐페인에 적극 참여로 "개식용금지"를 ... 3 2006-08-18 9744
앗~전철 또는 버스?? 기차?? 5 2006-08-16 8345
이번또한 퍼온글입니다,,,공감이갈뿐더러 교육을바꿀필요도잇다?? 2006-08-16 8692
기사]여름철 보양식 '지중해 식단 '인기 2 2006-08-15 9085
기사] 의사들이 개고기를 권한다고요? 완전낭설 5 2006-08-15 10190
<font size=2 color=blue><b>보호소동물들의 여름나기 5 2006-08-15 9789
이제야 올리네요^^ 2 2006-08-15 10420
구슬이에게 선물 4 2006-08-14 9338
전단지 부산일보에 넣어 저희 동네에 4000부 8 2006-08-13 9058
고양이 배변밀모래 3 2006-08-13 13217
많은분들이 읽어봐주심 좋을듯하네요,,이번것두퍼온글이이며 내용이 길어요,,끝까지 ~ 2 2006-08-12 9536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