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 기가 막히네요..
>
> 저희가 뭐라그런다고 법이 당장 바뀐다던지 그런건 아니겠지만.
> 일단 그프로그램 게시판에 들어가서 글을써야겠네요.
>
> 글을 쓴다해서 뭔가 당장 바뀌지는 않겠죠.
> 하지만 저희들의 의견을 쓰면 나중에 언젠가는 받아들여질거에요.
>
> 쇼생크 탈출이라는 영화를 보셨나요 ? 주인공의 교도소에 책을 기증받기
>위해 매주 편지를 썼더니 나중엔 귀챦아서라도 답변이 왔쟎아요.
> 그런식으로 저희들이 힘을 모아 계속 거론하면 이사람들도 인간인
> 이상 뭔가 반성을 하고 주의하지 않을까요 ..
>
> 저희들이 번거롭더라도. 끊임없이 끈질기게 얘기할 필요는 있을거에요
> 개고기 문제가 그동안 한국에서 1-2년 동안 생긴 문화가 아니기때문에
> 한두번 큰소리를 쳤다고 변화하지는 않을겁니다 ..
>
> 하지만 우는 아이에게 젖한번 주고 귀챦아서라도 주의하게끔 저희들이
> 힘을 모을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
> 사실 일일이 저희가 답변하고 글을 쓰는것도 쉬운일이 아니지만
> 티끌모아 태산이라고 , 그사람들이 지속적으로 그런식으로 나온다면'
> 저희도 꾸준히 지속적으로 얘기를하죠 ..
>
> 동물보호법이나 개고기 문제가 저희세대에 변화되면 제일 좋은 방법
>이겠지만 , 만약 그게 아니라면 변화될떄까지 , 끝까지 물고 나갑시다..
>
> 힘들고 긴 싸움이겠지만 , 그래도 저희들은 끝까지 할수 있을거에요.
> 힘을 모으자구요 ..
>
> 개고기 문화(?) 문화라고 표현하는 바보들도 있지만 .. 예전에 문둥병
> 걸린 사람들이 아이를 잡아 먹었다고 하죠 ..
> 솔직히 그거나 개고기를 먹는거나 마찬가지 아닐까요 ?

-----------------------------------------------------------------

>
> 그래서 작가가 은근히 "개고기"를 예찬하는 것이 의심스럽다고 제발
방송에서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글을 올렸는데 그 음식문화에 노소가 없다면서 바르도냐며 다들 욕을 하더군요.글로 먹고 사는 언론이 "문화"에 대한 사전적 의미도 모르면서 "개고기=한국의 음식문화"라는 공식을 만든 다음부터 모든 인간들이 애국주의와 더불어 음식문화를 외침니다. 그냥 좋아서 먹는다지 무슨 문화씩이나...제발 사전이라도 한번 찾아보라고 충고하고 싶네요.동물학대를 문화라니...
사실 저도 그 드라마 재밌게 봤는데 그 대목때문에 여태의 좋은 이미지가 여지없이 깨졌지요.작가도 싫어지구요.대부분의 시청자들이 젊은 사람들이었을텐데 많은 이들이 거부감이 없어보여 이 나라의 미래가 암담하더군요.
>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가입인사에요~~ 2 2007-01-28 7534
정기후원 자동이체 너무 힘듭니다. 1 2007-01-28 7888
도움이 되겠습니다... 2 2007-01-25 8024
우리집 코카 위탁소에 보냈습니다. 2 2007-01-23 8575
도와주세요. 급합니다. 2 2007-01-21 7870
<font color=green size=2><b>[re] [퍼옴] 죽어가는 개(위치와 차량넘버 확인) 2 2007-01-21 7864
[퍼옴] 저희는 오늘 죽어가는 개를 보았습니다 9 2007-01-20 7887
개와 사람의 차이 6 2007-01-19 8736
동물이야기에 사진 올리는 법이? 5 2007-01-19 8113
<font color=red size=2><b>개가죽으로 장구 만든답니다.. 1 2007-01-18 9143
개가죽으로 장구 만든답니다.. 2007-01-17 8969
도와주세요.. 2 2007-01-17 7922
후원자명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3 2007-01-15 7949
<font color=red size=2><b>[re]흰쥐해부교실 계획 취소-홈플러스 대구점. 4 2007-01-12 8980
경식이에게 후원을 하고 싶습니다 2 2007-01-12 7605
홈플러스 칠성점에서..흰쥐 해부교실을 연다고 합니다.. 2007-01-12 9180
많은돈을 후원할순없지만... 5 2007-01-10 7852
동물보호법 4 2007-01-09 7250
정회원 가입했는데여... 2 2007-01-09 8353
정말,소망을 함께 나눌 때입니다. 5 2007-01-08 888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