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살찐네♡
http://home.freechal.com/catopia/

21년 전 나의 남편은 내가 우리 딸을 사산한 것에 대한 슬픔을 달래주기 위해 나에게 생후 8주된 슈나우저 샘을 선물했습니다. 샘과 나는 그 후 14년 동안 아주 특별한 사이가 되었고 그 무엇도 우리를 변하게 할 수 없었습니다.

어느 날 우리는 뉴욕에서 뉴저지로 이사를 가게 되었습니다. 이사간지 얼마 후 이웃집 사람이 자기 고양이가 새끼를 낳았는데 한 마리 입양 할 생각이 없냐고 했습니다. 우리는 샘이 질투하게 될 것과 그 애가 자기 잔디밭을 뺏길것에 대해 약간 걱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위험을 감수하기로 마음먹고 고양이를 입양했습니다.

우리는 장난기 넘치는 조그만 회색 아가를 선택했습니다. 그 고양이를 데려온 이후로 우리집엔 마치 Roadrunner(미국산 뻐꾸기과의 일종)가 있는것 같았습니다. 그 애는 자기 상상속의 쥐와 다람쥐들을 쫒아다녔고 눈깜짝 할 새에 테이블에서 의자로 뛰어내렸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 애를 번개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처음엔 샘과 번개는 서로를 아주 경계했고 거리를 두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번개가 샘을 따라다니기 시작했습니다. 번개는 샘을 따라 계단을 오르락 내렸고 샘을 따라 부엌으로 가서 그 애가 밥먹는것을 쳐다보았으며 거실로 따라가서 그 애가 자는것을 쳐다봤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 애들은 뗄래야 뗄 수가 없는 사이가 되어버렸습니다. 잠을 잘 때도 항상 같이 잤고 밥먹을때도 항상 나란히 앉아서 먹었습니다. 내가 한 녀석과 장난을 치면 다른 녀석도 끼어들어서 같이 놀았고 만약에 샘이 뭔가를 보고 짖으면 번개는 무슨일인지 보기위해 달려갔습니다. 내가 한 녀석을 데리고 밖에 나가면 남아있는 녀석은 우리가 집에 올 때 항상 문앞에 서서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몇 년이 흘러갔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아무 예고도 없이 샘이 갑자기 경련을 일으켰고 심장이 약하다는 것이 그 원인이었습니다. 샘을 안락사 시키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 결정을 하는데 따르는 고통은 내가 샘을 병원에 데리고 갔다가 혼자서 돌아오는 고통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습니다. 이번엔 번개가 맞이해 줄 샘이 없었고 그 애가 왜 다시는 자기 친구를 볼 수 없는지 설명해 줄 수 있는 길이 전혀 없었습니다.

그 후로 번개는 큰 슬픔에 잠겨있는 듯 했습니다. 그 애는 자기가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나에게 말로 표현할 수는 없었지만 나는 누가 현관문을 열 때마다 그 애의 눈에서 고통과 실망을 볼 수 있었고 그 애는 개 짖는 소리가 들릴 때마다 샘이 아닐까 하는 눈빛으로 밖을 보았습니다.

몇 주가 지나고 그 애의 슬픔이 가라앉은 듯 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나는 거실로 걸어가다가 우리가 몇 해 전에 샀던 샘의 모습을 본따서 만든 조각상이 소파 옆에 있는것을 우연히 보게 되었습니다. 그 조각상 옆에는 번개가 자기 한 쪽 팔을 조각상의 목에다 두르고 누워서 자기의 가장 친한 친구와 기분좋게 자고 있었습니다.

캐런 델 투포
출처 "Chicken Soup for the Pet Lover's Soul" p 22~23
번호 제목 닉네임 날짜sort 조회 수
157 <font color=black size=2> 고양이의 모성, 새끼 쥐에게도 젖 먹이다. kaps 2006-06-17 8940
156 <font color=black size=2>죽은 고라니는 자동차에 치여... kaps 2006-06-17 9723
155 손학규, ‘떠돌이 개 3모자’에 보금자리 마련 ‘화제’ [4] kaps 2006-06-06 8377
154 CEO REPORT제공]개에 얽힌 재미있고 감동적인 이야기 기획&#9642;홍보부 2006-02-07 9859
153 [코리아헤럴드] 개의 해에 있어서 한국 잡종견의 엇갈리는 운명-영국지부장인터뷰 kaps 2006-02-03 7700
152 우리동네 도둑 고양이 기획&#9642;홍보부 2006-01-29 8179
151 중앙일보]과학의 향기 - 동물도 자살을 한다 기획&#9642;홍보부 2006-01-26 8648
150 <font color=black><b>개는 후각으로 암을 식별할 수 있는가? 기획&#9642;홍보부 2006-01-26 8902
149 [세계일보]2006년은 개띠해, 개고기 먹지 맙시다 관리자 2006-01-09 7546
148 [동아 일보] 개처럼 살면 행복이 온다. 관리자 2006-01-09 7493
147 [신문기사] 케냐에서 개고기 먹으면 큰일납니다. kaps 2005-09-21 7516
146 야생동물 이동통로 161곳 만든다. 2 kaps 2005-08-17 7499
145 인간의 관람은 동물의 감금 kaps 2005-08-17 8145
144 지리산서 뛰논지 두 달도 안됐는데... kaps 2005-08-17 7525
143 사람도 감동한 돼지와 닭 `아름다운 이별` kaps 2005-08-09 7544
142 [문화칼럼/박정요] 애완동물을 기른다는 것 kaps 2005-08-09 7543
141 [좀콤베스트] 똥개 kaps 2005-05-02 8298
140 생명공학 연구 [무균 원숭이] 떼죽음. kaps 2005-04-27 8041
139 생명연장 연구소서‘생명단축’된 원숭이들 kaps 2005-04-27 7539
138 다정한 이별 (동물도 말을 한다 中에서) kaps 2005-03-23 839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