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법인 한국동물보호협회
  • 홈
후원을 기다립니다
정말 속 상하는 일이지만 그 개는 잡기가 힘들지요. 밖에서 배회하다가 온 갖 고생과 위험을 많은 껵은 동물들은 사람을 믿지 않습니다.

초롱씨가 밥을 계속 줄 수 있다면 한가지 방법은 있습니다. 음식에다 진정제를 많이 태워 먹이면 조름이 옵니다. 어디가서 쓰러질 수 있는데 지켜보고 있다가 그 때 얼른 목 줄을 하여 집으로 데려와 묶어세요.

진정제를 먹이는 것과 그 개를 구조하는 것에 대해 상세한 의논을 하고 싶으면 전화를 주세요. 016-9393-9100






> 정말 속상해서 살수가 없어요. 저는 고양이를 키우고 있구요. 제가 사는
>
> 곳은 서울시 강남구 일원본동 인데요. 저희 동네에는 유난히 떠돌이개가
>
> 많은편이예요. 떠돌이개의 수가 늘어난 것은 2년이 채 못된 일이지만요.
>
> 지금부터 제가 문의드리려고 하는 것은, 떠돌이개의 구조 방법입니다.
>
> 저희 동네에 처음 나타날때부터 목에 목줄을 하고 있는 흰 개가 있어요.
>
> 진돗개 처럼 생겼는데.. 암컷이구요.. 경계심이 유난히 많아서 아무도
>
> 접근하지 못하게 하거든요. 그나마 자신에게 먹이는 주는 사람들에게는
>
> 조금이나마 경계심을 풀긴하는데요.. 목줄을 풀어주고 싶어도 개가 사람
>
> 들을 두려워하니 접근할 수가 없어서 동학방에 연락을 취했는데, 개를
>
> 잡아놓으면 자신들이 알아서 하겠다는 말만 무책임하게 내뱉고는 감감
>
> 무소식이었답니다. 직접 잡을 수 있으면 동학방에 도움을 요청할 일도
>
> 없잖아요.. 두번이나 연락을 취해봤지만 무산되고, 개는 1년 가까이를 그
>
> 상태로 불쌍하게 살아왔어요. 그러던 어느날, 바로 오늘 밤 8시반 경..
>
> 오랜만에 개를 다시 발견했어요. 더욱 처참해진 모습이였어요. 자신의
>
> 목줄은 반쯤 풀려있었지만, 그대신 밧줄이 목에 감겨있고, 전깃줄도 하
>
> 나 더 감겨있었요. 밧줄은 끊어진 흔적이 역력했어요. 경비아저씨 말로
>
> 앞 아파트 단지내 경비들이 개를 잡으려고 했다는군요. 그런데 하얀개가
>
> 죽을힘을다해 줄을 끊고 도망친 것 같았어요. 정말 보기가 안쓰럽고, 내
>
> 일이면 곧 죽어서 못보게 될 것같아서 걱정되 죽겠어요. 다른 기관의
>
> 도움을 받지 못할바에는, 저희가 마취총 같은 걸 사용해서 동물병원에
>
> 데려다 주는 방법은 없을까요? 우선 목줄 풀고, 건강해진 후에, 입양이라
>
> 도 시키게요.. 어떡하면 좋을지 도움말 좀 해주셨음 해요..ㅠ_ㅠ
>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동물보호 및 협회에 기여 할수 있는 좋은 방법 2004-07-27 8015
연말정산서류 1 2010-01-16 8014
버려진 개가 있습니다.( 장기용회원님! 감동 받았습니다.) 2003-07-06 8013
동물후원금 기부자입니다. 인터넷상에서 기부금 영수증을 다운받는 프로그램있으면 좋겠습니다. 9 2006-12-18 8012
땡돌엄마입니다 3 2006-03-13 8012
7월 1일자 Korea Herald 기사에서 2002-07-02 8011
. 회원님들!! 부탁드립니다 3 2010-01-02 8010
죄송합니다..^^ 2005-04-02 8010
작은 마음만 받아주세요 3 2010-12-03 8009
포항 허스키 도살 사건. 포항 남부경찰서에서온 공문 2004-11-30 8009
유기견신고와 항의글들을읽고..... 2 2005-10-03 8008
이필렬교수의 1.동물은 식물과 다른가? 2.개고기 2005-01-08 8008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시 글 올립니다... 2004-12-14 8008
김 초롱씨! 일원본동 아파트 고양이 포획사업에 관하여... 2004-08-30 8008
어떡해야 할까요??? 5 2008-07-18 8007
연천 보호소 입니다 2005-02-04 8007
회장님~~~ 2 2009-10-13 8005
도움이 되겠습니다... 2 2007-01-25 8005
말라뮤트 글->출처에 대한 항의회원에게 확실한 확인 바랍니다. 2005-02-03 8005
이런일이 있었네요*^^* 2005-02-07 8003
Top